Page 16 - ele_science_6-1_teacher
P. 16

수업 PPT    학습 목표
                         DVD
      5                     학습 지도안     실험 결과를 알맞은 자료로 변환하고,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다.
                     4             실험 결과를 변환하고 해석해 볼까요
     6 차시








       수업 흐름
        도입                           두리네 모둠은 양초 심지의 굵기가 촛불의 길이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
       • 두리네 모둠의 실험 결과
        확인하기                       보려고 실험을 한 뒤 다음과 같이 실험 결과를 기록했습니다.
       • 자료를 변환하는 까닭과
        방법 알아보기
                                      두리네 모둠의 실험 결과
        전개  [탐구] 자료를 변환하
       고 해석하기
        정리  자료 변환 및 자료 해석              ⑴  양초 심지의 굵기에 따른 촛불의 모습
       의 방법 정리하기



        지도상의 유의점
         • 이 차시에서는 실험에서 수집한 자료
        를 그래프로 변환하고, 그 의미를 해
        석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그래프를 그릴 수도 있다. 자료를 변
        환할 때에는 자료 변환의 목적을 알                                                  30`mm         45`mm
        고 실험 결과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                               15`mm
        는 형태로 나타내게 지도한다.                              심지 지름           심지 지름          심지 지름
         • 자료를 해석할 때 자료에서 알 수 있                        1`mm            2`mm           3`mm
        는 점이 무엇인지, 변인 사이의 관계
        에서 나타나는 특징이 무엇인지 등을
        찾아내어 자신의 언어로 표현할 수             ⑵  양초 심지의 굵기에 따른 촛불의 길이
        있게 지도한다.
                                             양초 심지의         심지 지름         심지 지름         심지 지름
                  실험 결과로 얻은 자료는                굵기            1`mm          2`mm          3`mm
                 그림, 표, 그래프 등의 형태로
                                             촛불의 길이
                  바꾸어 나타낼 수 있어요.                              15            30            45
                                               (mm)

                                       ⑶  실험 결과로 알 수 있는 사실
                                           촛불의 길이를 측정한 결과 양초 심지의 굵기가 굵을수록 촛불의 길이가 길다.

       수업 도우미
       실험 결과를 확인할 때 미리 결론을 내
       리지 않게 하고, 각 모둠에서 실험으로
       얻은 자료의 의미를 있는 그대로 이야기         자료를 변환할 때에는 실험 결과를 잘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 무엇
       하게 한다.
                                   인지 생각합니다. 그림은 사물의 모습이나 자연 현상을 이해하기 쉽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표는 많은 양의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

                                   습니다. 그래프는 실험 조건과 실험 결과의 관계를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나타낼 수 있습니다.



           16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