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1 - ele_society_5-1_tutor
P. 281

수업 참고 자료




                      ~                                               (관련 법_형법 제312조 고소와 피해자의 의사)
                  18 19 차시
                                                                  •「심청전」                                           2
                    규범
                                                                    -  공양미를 시주하겠다는 심 봉사의 약속은 꼭 지켜                  단원

                   규범은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에서 지켜야 할 약속으
                                                                      야 할까?
                 로 관습, 도덕, 예절, 법 등을 통틀어 말한다.
                                                                      (관련 법_민법 제554조 증여의 의의)
                   그중에서 법은 국가가 만든 강제력이 있는 규범이다.

                                                                    -  자신의 목숨을 제물로 바치겠다는 청이의 계약은
                 강제력이 있다는 것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꼭 지켜야 한
                                                                      유효할까?
                 다는 뜻이다. 도덕 가운데 꼭 지켜야 할 것을 법으로 정
                                                                      (관련 법_민법 제103조 반사회 질서의 법률 행위)
                 했다고 해서 ‘최소한의 도덕’이라 불리기도 한다.

                                                                    -  청이 같은 미성년자를 계약으로부터 보호하는 법
                   규범은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관련 법_민법 제5조 미성년자의 능력)
                 • 관습: 오랫동안 되풀이되어 전해 내려오는 규범이다.
                   예  명절에 한복 입기, 결혼식 문화 등                         •「흥부전」

                 • 도덕: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행동이나 마음가                     -  흥부가 놀부에게 재산을 나눠 달라고 할 수 있을까?
                   짐이다.  예  어려운 사람 돕기, 다른 사람에게 욕하지                    (관련 법_민법 제1112조 유류분의 권리자와 유류분)
                   않기 등                                             -  돈을 받고 매를 대신 맞는 것도 죄가 될까?
                 • 예절: 존중하는 마음을 담아서 행하는 말투나 몸가짐                       (관련 법_민법 제103조 반사회 질서의 법률 행위)
                   을 뜻한다.  예  웃어른께 인사하기, 공공장소에서 질서                - 신주영, 『옛이야기로 만나는 법 이야기』, 꿈초, 2019, 9~150쪽 -

                   잘 지키기 등
                 • 법: 국가가 정한 강제성 있는 규범이다.  예  쓰레기 몰                  형벌의 종류
                   래 버리지 않기, 남의 물건 훔치지 않기 등
                                                                    법을 어긴 사람은 크고 작은 벌을 받는다. 형벌을 내
                    - 손혜령, 『콩쥐를 지키는 법 팥쥐를 벌주는 법』, 아르볼, 2014,
                                                                  리는 까닭은 죄를 지으면 벌을 받는다는 것을 알려 주어
                                                     16~17쪽 -
                                                                  다시 죄를 짓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형벌은 크게 네
                    옛이야기로 만나는 법 이야기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 명예형: 자격을 빼앗거나 정지하는 형벌이다. 경찰관
                   학생들에게 익숙한 옛이야기에 법을 적용함으로써 흥
                                                                    이나 국회 의원과 같이 나랏일을 하는 공무원, 기업의
                 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고, 옛이야기 속에 담긴 교훈과 더
                                                                    대표 등 중요한 위치에 있는 사람이 죄를 지으면 기간
                 불어 더욱 깊은 생각을 해 보게 할 수 있다. 아래 질문을
                                                                    을 정해 자격을 정지하거나 빼앗는다.
                 통해 법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시도해 보자.
                                                                  • 재산형: 죄가 가벼운지, 무거운지를 따져 벌금을 내도
                 •「선녀와 나무꾼」
                                                                    록 하는 형벌이다. 법을 어겨 가면서 부당한 방법으로

                   -  선녀의 날개옷을 훔쳐 결혼한 나무꾼, 이 결혼은 유
                                                                    재산을 모았을 경우, 나라에서 그 재산을 모두 빼앗기
                     효할까?
                                                                    도 한다.
                     (관련 법_민법 제816조 혼인 취소의 사유)
                                                                  • 자유형: 사람을 감옥에 가두어 자유를 빼앗는 형벌이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다. 죄가 가벼우면 며칠 만으로 끝나기도 하지만, 죄가
                   -  신하의 행동은 명예 훼손죄일까?                             무거우면 감옥에서 평생 지내야 하는 경우도 있다.

                     (관련 법_형법 제307조 명예 훼손)                        • 생명형: 죄를 지은 사람의 목숨을 빼앗는 사형을 뜻한

                   -  서동이 명예 훼손죄를 저지르고도 처벌받지 않을                     다. 다른 사람을 죽이거나 나라를 혼란스럽게 만드는
                     방법은?                                           등 끔찍한 죄를 지은 경우에 받게 된다.


                                                                                         인권 존중과 정의로운 사회  279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