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7 - ele_math_6-2_tutor
P. 317
3. 원기둥, 원뿔, 구의 정의 방법
우리나라 역대 교육과정에서 원기둥, 원뿔, 구의 정의는 크게 4가지 방법을 이용해 왔는데
발생적 방법, 분석적 방법, 예시적 방법, 예시와 분석의 혼용 방법이다. 발생적 방법은 사물이
생성되는 방식을 기술하는 방법으로 “구는 반원의 지름을 회전축으로 하여 한 번 돌려 얻은 회전 6
체이다.”와 같이 회전체를 이용한 방법이다. 분석적 방법은 정의하고자 하는 본질(속성)을 제시
하는 방법으로 “(원기둥 그림을 하나 제시하고) 그림과 같이 위와 아래에 있는 면이 서로 평행
하고 합동인 원으로 되어 있는 입체도형을 원기둥이라고 합니다.”와 같이 정의하는 것이다.
예시적 방법은 개념에 속하는 대상들을 활용한 정의 방법으로 “ , , 등과 같은
입체도형을 원뿔이라고 합니다.”와 같이 정의하는 것이다. 예시와 분석의 혼용 방법은 “(실생활
의 여러 가지 기둥 모양을 제시하여 분류하게 한 후) 두 면이 서로 평행하고 합동인 원으로 된
기둥 모양의 입체도형을 원기둥이라고 합니다.”와 같이 정의하는 것이다.
제7차, 2007 개정, 2009 개정, 2015 개정 국정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원기둥, 원뿔, 구
의 정의 방법은 아래의 표와 같다(류성림, 2020).
교육과정 원기둥의 정의 방법 원뿔의 정의 방법 구의 정의 방법
제7차 분석적 방법 분석적 방법 발생적 방법
예시적 방법과 예시적 방법과
2007 개정 발생적 방법
분석적 방법 분석적 방법
2009 개정 예시적 방법 예시적 방법 예시적 방법
2015 개정 예시적 방법 예시적 방법 예시적 방법
이 단원에서는 수학적 정의를 강조하기 위해 원기둥과 원뿔의 정의는 예시와 분석의 혼용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구의 정의는 발생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자료 출처
• 류성림, 「원기둥, 원뿔, 구에 대한 국내외 초등 수학 교과서 비교 연구」, 2020.
6. 원기둥, 원뿔, 구 315
20개정_초등_지도서[626](305~340)_수정본OK.indd 315 2022. 4. 28. 오후 12: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