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3 - ele_society_5-2_tutor
P. 73

3             사회과의 교수·학습 방법













                  1   교수·학습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회과 교수·학습의 원칙 및 방법은 다
                     방향             음과 같다.



                                    가. 교수·학습의 원칙


                                    (1)  학습자가 사회 현상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갖고, 인간 생활과 사회 현상의 원리를 발
                                       견하며, 이를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학습을 전개한다.


                                    (2)  사회과의 성취 목표인 핵심 지식의 이해, 탐구 기능의 습득, 고차원적 사고력의 신장,
                                       문제 해결력 및 실천 능력 향상, 인권 존중 의식 고취, 사회 정의 및 공동체 의식 함
                                       양, 존중과 배려 의식 함양, 관용과 타협의 정신 함양 등을 위해 다양한 교수·학습 방
                                       법을 활용한다.

                                    (3)  문제 해결력, 의사 결정력, 메타 인지 등과 같은 고차 사고력 함양에 적합한 교수·학
                                       습 방법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학습을 전개한다.
                                    (4)  민주적 가치 및 태도 함양에 적합한 개인적·사회적 문제나 쟁점에 대한 탐구, 가치 분

                                       석, 의사 결정 등과 같은 학습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가치 갈등과 문제 상황에서 타인

                                       에 대한 공감 능력, 문제나 갈등 해결 및 친사회적 행동 실천 능력 등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학습을 전개한다.

                                    (5)  사회과 학습의 목표와 학습자의 상황 및 교육 환경을 고려하여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실시하고, 이를 반성적으로 개선해 나가도록 한다.

                                    (6)  학습자의 학습 준비 정도나 성취 기준 도달 정도를 파악하고, 개인차를 해소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설계한다.


                                    나. 교수·학습의 방법

                                    (1)  사회 현상에 대한 종합적인 인식을 위하여 통합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강조한다.


                                    (2)  학습자의 학업 성취 수준, 흥미, 경험, 학습 속도, 사회적 요구 등을 고려하고 교육 현장
                                       에 적합한 주제와 문제를 중심으로 단원을 구성하여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3)  학습자의 사고력을 자극할 수 있도록 적절한 탐구 상황을 설정하고 다양한 발문 기법
                                       을 활용한다.

                                    (4)  학습자의 민주적 가치 및 태도 함양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쟁점이나 문제 상황, 가치
                                       갈등 상황, 인권 침해 사례 등 다양한 상황이나 사례를 제시하고, 학습자가 합리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사례 및 체험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과 자료

                                       를 활용한다.


                                                                                                           71
                                                                                         3. 사회과의 교수 · 학습 방법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