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4 - ele_society_5-2_tutor
P. 74

(5)  모둠별 협동 학습을 통해 민주 시민의 중요한 자질이라 할 수 있는 공동체 구성원으로

                                 서의 책무성, 참여 의식, 타인에 대한 존중과 배려, 정의감, 협업 능력을 함양할 수 있

                                 도록 한다.

                              (6)  질문, 조사, 토의·토론, 논술, 관찰 및 면담, 현장 견학과 체험, 초청 강연, 실험, 역할
                                 놀이와 시뮬레이션 게임, 모의재판과 모의국회, 사회 참여, 사료 학습, 역할 놀이, 제
                                 작 학습, 추체험 학습 등의 다양한 학습 방법을 학습 내용의 성격에 비추어 적절하게
                                 활용한다.


                              (7)  현대 사회의 정보화 추세에 맞추어 각종 정보 매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교실 환경을
                                 조성하고, 지리 정보 시스템, 신문 활용 교육, 웹 기반 학습을 적극 활용하도록 한다.
                              (8)  학습자가 스스로 사회 문제나 쟁점을 탐구하거나 가치를 분석하는 기회를 갖도록 각

                                 종 사회 문제에 대한 시사 자료와 지역 사회 자료를 활용한다.


                              (9)  현대 사회의 정치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법적 현상을 경험적 자료에 근거하여 분
                                 석하고,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 및 갈등 사례에 대해 이해와 공
                                 감을 바탕으로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10)  교수·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지도, 도표, 영화, 통계, 사료, 신문, 방송, 사

                                  진, 기록물, 디지털 자료, 여행기 등의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한다.







            2   교수·학습           사회과 학습의 목표와 학습자의 상황 및 교육 환경에 따라 문제 해결 학습, 탐구 학습,
               모형             의사 결정 학습, 개념 학습, 논쟁 문제 학습, 협동 학습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
                              할 수 있다.

                               문제 해결 학습

                                사회과에서 문제 해결 학습이란 학생들의 경험만으로는 간단히 풀 수 없는 문제 사태

                              를 의도적으로 교육의 장에 도입하여 그것을 해결해 보도록 조직한 학습이다(최용규 외,
                              2014: 137). 문제 해결 학습은 듀이(J. Dewey)의 ‘반성적 사고’를 기반으로 발달한 것으
                              로, 많은 학자에 의해 다양하게 개념화되고 응용·발전되어 왔다. 여기서는 최용규 외
                              (2014)가 제시한 교수·학습 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수업 과정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문제              문제              정보              대안
                                                                                                 검증
                                 사태             원인 확인            수집              제시

                                문제 해결 학습 모형의 단계별 교수·학습 활동  예

                                학습 주제    생활 속 인권 보장 문제

                                학습 목표    생활 속에서 인권 보장이 필요한 사례를 찾고 그 해결 방안을 탐색할 수 있다.



           72   총론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